
뉴스 상세
안동시립도서관, 2025년 ‘생활 속 도서관’ 구현
독서·문화·상생 성과
안동시립도서관 전경(안동시 제공)
‘책 읽는 도시 안동’의 위상이 한층 더 두꺼워졌다. 안동시립도서관이 2025년 한 해 동안 독서 인프라 확충, 시민 참여형 문화행사, 평생학습 확대, 지역 상생 프로그램을 두루 펼치며 지역 대표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안동시립도서관은 스마트도서관 4곳과 숲속도서관 7곳, 전자도서관을 운영해 ‘언제 어디서나’ 대출·반납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했다. 장서는 22만 3천여 권. 중앙도서관 야외정원 경관조명 추가, 어린이도서관 대출데스크 리모델링 등 시설 개선도 병행해 이용 편의를 높였다. 그 결과 중앙·웅부·어린이 등 3개 도서관 연간 이용자는 16만여 명을 기록했고, 경상북도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에서 3년 연속 수상했다. 특히 안동시립어린이도서관은 올해 ‘대상’을 받았다.
시민이 함께 즐기는 행사도 확대했다. 제2회 중앙도서관 ‘도서관 야간산책’, 제8회 웅부도서관 ‘BOOK적BOOK적 시민독서한마당’, 제2회 어린이도서관 ‘북크닉(Booknic)’이 세대 통합형 축제로 자리 잡았다. 처음 선보인 체험형 프로그램 ‘어서 와, 사서는 처음이지’는 사서 업무를 직접 경험하도록 해 큰 호응을 얻었다.
독서 공동체 기반도 넓혔다. ‘처음 시작하는 독서동아리’로 신규 동아리 2개가 결성됐고, 유아 대상 ‘그림책 천 권의 힘’은 36개월 이상~9세 이하 아동의 1천 권 완독을 독려해 가족 단위 독서 습관을 이끌었다. ‘문화가 있는 날’에는 공연·작가 강연·체험행사를 상시 운영해 도서관을 생활 문화 플랫폼으로 확장했다.
공모사업 선정으로 운영 경쟁력도 강화했다.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사업’, ‘도서관 문화예술 동아리 지원사업’ 등에 잇달아 선정됐고, ‘지역서점 구매 책값 돌려주기’로 지역서점 매출을 지원했다. 59명의 작가가 참여한 ‘지역작가은행제’는 시민과 작가가 소통하는 지역문학 허브로 기능했다.
김혜경 안동시립도서관장은 “올해 도서관은 시민의 일상 속으로 더 깊이 들어갔다”며 “책과 문화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안동의 대표 도서관으로 계속 발전하겠다”고 말했다.
최준혁
언론출판독서TV
관련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