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상세
『쓸데없이 눈부신 게 세상에는 있어요』 출간(안도현, 문학동네)
사소함에서 빛을 건지는 시, 5년 만의 새 시집
출판사 제공
문학동네시인선 244번째로 안도현 시인의 『쓸데없이 눈부신 게 세상에는 있어요』가 나왔다. 1981년 등단 이후 45년에 이르는 시간 동안 시·동시·동화·산문을 넘나든 작가가 5년 만에 묶은 12번째 시집이다. 긴 타향살이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뒤 쓰인 작품들이 중심을 이루며, 생활의 결이 살아 있는 장면과 사물의 숨결을 차분히 끌어올린다.
이번 시집은 힘을 뺀 문장으로 오히려 더 멀리 가는 시의 방향을 보여준다. 연못과 밭, 풀과 돌담 같은 낮은 풍경을 통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말”의 안쪽에서 삶의 요체를 건져 올린다. 『연못 위에 쓰다』, 『풀 뽑는 사람』, 『고평역』 등에서 보이듯, 사소한 동작과 오래된 지명, 손끝의 감각이 기억과 질문으로 번져 독자의 몸에 남는다. “자꾸 물어도 좋은 질문이 세상에는 많네”라는 구절처럼, 시는 해답보다 응시와 머묾을 선택한다.
시의 태도도 한결 명료해졌다. “미쳐 날뛰는 것을 침묵이라고 하자”라는 전복적 명명, “묻지 말고 묻어야 한다”는 문장의 어긋남은 현실의 균열을 드러내며 독자를 생각의 지점으로 이끈다. 대파 한 단을 꽃다발처럼 들고 선 어머니, 싸리비로 눈을 쓰는 아버지, 북쪽을 가리키는 자작나무 같은 이미지들은 개인의 시간과 공동의 기억을 자연스레 겹친다. 의미와 무의미를 갈라 세우는 습관을 경계하고, “쓸데없어 오히려 눈부신” 것들을 삶의 중심으로 데려오는 몸짓이 뚜렷하다.
낮은 자리에서 시작해 멀리까지 미끄러지는 문장, 읽는 이를 향해 과장 없이 다가서는 호흡도 특징이다. 책장을 덮고 나면, 독자는 연못의 수면과 밭고랑의 흙결, 빈 역의 바람 소리 같은 것들을 새로 듣게 된다. 쓸모를 묻는 세계에서 “써먹을 수 없기에 우리를 억압하지 않는” 언어의 영역을 증언하는 시집이다.
마지막 장을 덮는 문장은 조용하다. 눈부심은 크고 요란한 데만 있지 않다. 우리 곁, 손 닿는 자리의 사소함에서 오래 빛난다.
장세환
언론출판독서TV
관련 기사


『국어보다 중요한 공부는 없습니다』 신간 출간(다산북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