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상세
버려진 집을 동네 도서관으로, 『빈집활용 건축디자인 공모전』 당선작 발표(서울시·SH공사)
미아동 ‘비콘 라이브러리’ 대상
수상작 미아동 비콘 바이브러리(서울시 제공)
서울특별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오래 방치된 주거지를 생활문화 인프라로 전환하는 ‘빈집활용 건축디자인 공모전’에서 5개 작품을 선정했다. 이번 결과는 노후 단독주택을 도서관과 예술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도시재생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상에는 미아동을 무대로 한 ‘비콘 라이브러리’가 이름을 올렸다. 낮에는 골목과 통하는 개방형 정원, 밤에는 경사지붕 아래로 새어 나오는 빛으로 주변을 밝히는 소규모 도서관 구상이다. 1층을 투명하게 열어 보행자와 내부 활동이 자연스럽게 시선을 주고받도록 했고, 야간에는 동네 중심을 환하게 비추는 ‘마을의 등불’ 역할을 하도록 계획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최우수작 ‘그루터기 도서관’은 내부의 움직임을 외부立面에 고스란히 드러내는 설계를 통해 ‘사람이 머무는 장면’ 자체를 동네의 활력으로 디자인했다. 도서관 이용, 자원활동, 소모임 등 일상의 동선을 건물 표정으로 표현해 건축과 지역 일상의 접점을 확장했다는 평이다.
우수작 3점은 지역성에 더 깊이 발을 들였다. 독산동의 다층 소형주택을 작은 지붕형 마을 카페로 개조해 휴식과 독서가 공존하는 거점으로 제안했고, 서촌 옥인동 빈집은 예술인 레지던시와 주민 편의시설을 결합한 복합 공간으로 재설정했다. 또 다른 작품은 소규모 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골목 단위의 문화 순환을 끌어내는 방식을 제안했다.
서울시는 실현 가능성이 높은 안들을 2026년 빈집 정비사업에 단계적으로 반영할 예정이다. 현재 SH공사가 매입한 빈집 상당수가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생활정원, 공영주차장 등으로 활용 중인 만큼, 이번 ‘도서관·문화공간’ 모델 역시 실제 사업화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서울시는 “빈집을 방치의 상징에서 책과 사람이 모이는 생활 거점으로 바꾸는 도시재생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양정현
언론출판독서TV
관련 기사


『처음 만나는 오페라』 운영(동두천시 시립도서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