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상세
작은도서관 다섯 곳 중 한 곳 문 닫았다, 이용자는 늘었다
6년 새 휴·폐관 비율 두 배로 증가… 대전·세종·광주 순으로 높아, 예산 삭감이 현장 압박
최근 6년, 작은 도서관 휴업, 폐업 수(민형배 의원실 제공)
책을 찾는 발길은 늘었는데 정작 문은 닫혔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전국 작은도서관 6천8백30곳 가운데 1천4백40곳이 문을 닫았거나 운영을 멈춘 상태로 집계됐다. 다섯 곳 중 한 곳 꼴인 21퍼센트다. 2019년 휴·폐관 비율 9점7퍼센트에서 두 배 넘게 뛴 수치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전체 2백21곳 중 21곳이 문을 닫아 폐관율 9점5퍼센트로 가장 높았다. 뒤를 세종 6점1퍼센트, 광주 5점9퍼센트, 경기 5점4퍼센트, 강원 5점3퍼센트가 이었다. 반면 이용자는 늘었다. 작은도서관 방문자는 2020년 2천1백98만 명에서 2024년 3천2백47만 명으로 1천만 명 이상 증가했다. 수요는 커졌지만 재정은 반대로 움직였다.
지자체의 공공도서관 지원 예산은 2019년 3백57억4천3백만 원에서 2024년 3백32억1천1백만 원으로 25억 원 이상 줄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예산도 2020년 83억4천9백만 원에서 2025년 71억2천4백만 원으로 감소했다. 프로그램 예산의 직격탄은 더 뚜렷하다. 작은도서관 문화가 있는 날 사업은 2023년까지 연간 2백만 원이 배정됐지만 2024년 전액 삭감됐다. 현장 운영의 허리를 받쳐 온 순회사서 지원은 73억3천만 원에서 63억8백만 원으로, 책친구 지원도 3억9천5백만 원에서 3억1천6백만 원으로 줄었다.
민형배 의원은 “정부의 대대적인 예산 삭감이 작은도서관 폐관 사태로 이어졌다”고 지적하며 “국민의 지적과 문화적 삶의 질을 떠받치는 기반 시설인 만큼 문체부는 다각적 활성화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작은도서관은 아이들의 방과 후 독서와 돌봄, 동네 주민의 생활 문화와 모임을 붙드는 가장 가까운 인프라다. 통계는 분명하다. 이용은 늘고 있다. 남은 선택지는 두 가지뿐이다. 사람의 발걸음을 따라 예산을 되돌리거나, 발걸음이 향하던 문을 더 닫게 하거나. 지역 문화의 체온은 여기서 결정된다.
장세환
언론출판독서TV
관련 기사


영주선비도서관 한글로 빚은 나의 이야기 전시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