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상세
이성준 저 『선인장이 있는 풍경화』 출간(좋은땅), "갈증을 먹고 사는 교사의 삶, 척박한 현실 속 꺾이지 않는 의지"
"산적 선생"이라 불린 교사의 신념과 굴복, 10년 묵힌 원고로 증언하는 교육 현실
출판사 제공
"갈증을 먹고 사는" 선인장처럼, 척박한 교육 현실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교사가 있었다. 제주 해녀의 아들로 태어나 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전업작가가 된 이성준이 10년간 묵혀둔 원고 『선인장이 있는 풍경화』를 세상에 내놓았다.
이 장편소설은 '산적 선생'이라 불리며 학생과 동료들에게 존경받던 교사가 재단과 이사장의 권력 앞에서 부당한 탄압을 겪는 이야기다. 체포와 모함, 왜곡된 언론 보도, 가족의 고통이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도 그는 끝까지 교육자의 양심과 신념을 지켜나가려 한다.
작품의 핵심 모티프는 제자로부터 받은 선인장 화분이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꺾이지 않고 살아남는 교사의 정신"을 비추는 이 선인장은 주인공이 구속과 억울한 누명, 동료들의 배신, 사회적 고립을 겪는 중에도 꿋꿋이 존재하며 시련 속에서도 굴복하지 않는 의지를 상징한다.
저자는 "10여 년이나 묵혀 둔 원고"를 내놓는 이유에 대해 오늘날 학교가 "더욱 아름답지 못하고 더욱 사나운 곳이 된 것 같아 마음 아프다"는 심정을 밝혔다. 실제로 작품은 교감의 부당한 강임, 이사장의 전횡, 교사들 사이의 갈등과 분열 등 교육 현장의 구조적 문제를 날카롭게 고발한다.
하지만 이 소설이 전하는 메시지는 절망이 아니다. "학교는 백 년을 위해 바로 세워야 할 신성한 곳"이라는 작품 속 취지문에서 드러나듯, 참된 교육에 대한 믿음과 회복의 희망이 끝내 살아남는다는 것이 작가의 신념이다.
작품은 단순히 교권 문제를 넘어서 부당한 권력과 맞서는 개인의 존엄, 그리고 참된 교육의 의미를 묻는다. 주인공의 투쟁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시대와 사회가 교육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기도 하다.
이성준은 제주 조천에서 유복자로 태어나 해녀 어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어머니마저 여의고 남의 은공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고등학교에서 국어 교사로 일했다. 2010년 학교를 떠난 뒤 전업작가로 나서며 시집 『억새의 노래』, 대하소설 『탐라의 여명』, 장편소설 『해녀, 어머니의 또 다른 이름』 등을 발표했다.
현재 강원도 횡성호수 부근에서 소설 창작에 몰두하고 있는 작가는 이번 작품을 통해 교육자와 문학인의 이중적 정체성이 맞물린 깊이 있는 서사를 완성했다. 교육 현장의 고통을 넘어 사회 전반의 부조리를 비추는 거울인 동시에, 절망 속에서도 꺾이지 않고 살아남는 인간의 의지를 선인장이라는 상징에 담아낸 문학적 성취다.
장세환
언론출판독서TV
관련 기사


『개초보 회계』출간(김우철, 어깨위망원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