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상세
타인 폰 악용해 도서관·병원·수영장 겨냥, 허위 폭탄신고 상습범 검거
부산서 8개월간 공공시설 테러 협박한 30대 구속, 범행 수법 교묘, 남의 폰 이용해 추적 회피 시도

부산지역 공공시설을 겨냥한 폭탄 테러 협박 사건의 배후가 드러났다. 사상경찰서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까지 지역 주요 시설에 폭발물 설치 거짓 신고를 일삼은 30대 남성을 체포했다고 14일 공개했다.
체포된 A씨의 범행 수법이 치밀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자신의 신원 노출을 피하기 위해 주워온 타인의 휴대전화를 범행 도구로 활용한 것이다.
A씨는 작년 12월을 시작으로 올 7월, 그리고 이달까지 세 차례에 걸쳐 112 종합상황실에 연락했다. 매번 폭발물을 설치했거나 터뜨렸다는 내용으로 거짓 제보를 했다.
첫 번째 표적은 부산 시내 한 도서관이었고, 두 번째는 부산백병원, 세 번째는 하단수영장이었다. 모두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공시설들이었다.
A씨가 아무리 남의 전화를 사용했어도 현대 수사기법 앞에서는 소용없었다. 경찰은 첨단 통신분석 기술과 디지털 수사를 병행해 범인의 정체를 추적했다.
특히 반복되는 범행 패턴과 통화 기록 분석을 통해 A씨를 용의자로 좁혀나갔고, 결국 신원 확인에 성공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장난전화가 아닌 중대한 범죄행위로 분류된다. 위계공무집행방해 적용 시 최고 5년간 교도소에 수감되거나 1천만원의 거액 벌금을 물게 될 수 있다.
더욱이 경찰은 형사처벌에 더해 민사 소송을 통한 손실 보상까지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허위신고로 인한 인력 동원과 긴급 대응 비용 등을 A씨에게 청구하겠다는 것이다.
수사 당국은 이런 유형의 범죄가 사회 전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강조했다. 한 경찰 간부는 "거짓 테러 신고 한 건당 수십 명의 인력이 출동하고 막대한 예산이 소모된다"며 "개인의 일탈이 공동체 전체에 피해를 준다는 점에서 엄중하게 다룰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폭발물 신고가 접수되면 해당 시설 전체가 통제되고 전문 대응팀이 긴급 출동하는 등 대규모 공적 자원이 투입된다. 시민들의 불안감 조성은 물론 정상적인 공공서비스 제공에도 차질을 빚게 된다.
장세환
언론출판독서TV
관련 기사


영주선비도서관 한글로 빚은 나의 이야기 전시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