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상세
제1회 림 문학상 수상 작가 이서현 장편소설 『안락한 삶』 출간
AI가 죽음 허가하는 사회 배경으로 인간다움의 경계 탐구 안락사법 제정된 미래 사회 배경의 SF 소설

제1회 림 문학상 수상작 「얼얼한 밤」으로 주목받은 이서현의 장편소설 『안락한 삶』이 열림원에서 출간됐다.
이 작품은 안락사법이 제정되고 AI가 죽음을 허가하는 사회를 배경으로, 죽음의 권리와 인간다움의 경계에 질문을 던진다. 민간 안락사 기업 '스틸 라이프'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하는 '미래' 앞에 어느 날 얼굴도 몰랐던 이복동생 '영원'이 찾아온다. 치명적인 희귀병을 앓는 영원은 안락사를 소망하지만, 스틸 라이프는 단 7퍼센트의 안락사 허가 가능성만을 도출한다. 미성년자인 영원이 안락사를 허가받기 위해서는 보호자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 미래는 타인의 죽음이 자신의 선택에 달렸다는 사실이 버겁기만 하다.
영원 역시 남은 가족이 미래뿐인 상황에서 AI 프로그램과 제도가 오히려 가로막는 벽이 되는 현실에 직면한다. 영원은 자신의 선택으로 인해 누군가 피해 입는 것을 피하고 싶었지만, 그 바람조차 뜻대로 되지 않는다. 소설은 미래와 영원 두 사람의 마음이 교차하는 자리에서 '타인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으려는 마음'과 '남은 자를 지키고자 하는 마음' 사이를 들여다본다.
작품은 "누군가의 죽음을 허락하는 것이 가능한가, 그것이 인간적인가"라는 질문에 정치도 법도 아닌 '사랑'이라는 방식으로 답한다. "죽음조차 AI에게 허가받아야 하는 시대에, 삶과 죽음의 결정권은 누구에게 있는가"라는 질문은 "가족이란 무엇인가", "사랑은 증명이 아니라 동의일 수 있을까"라는 더 근원적인 물음으로 이어진다. 이 소설은 안락사 그 자체보다 안락사를 지켜보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며, 죽음을 선택하는 용기보다 그것을 받아들이는 '용서'에 가까운 이야기다.
이서현은 림 문학상 심사 당시 "캐릭터 앙상블"과 "생생하고 친근한 대화", "현실적인 이야기를 할 때도 현실에서 살짝 발을 떼고 있는 듯한 특유의 명랑한 분위기"와 "작가의 시선과 태도에서 감지되는 건강성"으로 호평받았다. 이번 작품에서도 비상한 사건을 통해 평범한 존재들의 상처와 진실, 관계를 탐구하면서도 끝내 그들의 존엄과 생명력, 유머를 놓치지 않는다.
저자 이서현은 2020년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 대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펑』, 소설집 『망생의 밤』, 산문집 『가능성의 세계』 등을 썼으며, "언제까지나 꾸준히 소설을 쓰는 사람이고 싶다"고 밝혔다. 『안락한 삶』은 가까운 미래의 소설이자 동시에 지금 이곳을 비추는 거울이다.
최준혁
언론출판독서TV
관련 기사


『개초보 회계』출간(김우철, 어깨위망원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