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상세
제14회 황순원문학상, 소설가 주수자 작가상 수상, 배우 차인표 신진상 수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로 "민족 언어 정체성 되묻는 서사" 평가, 실존 국문학자 김태준 바탕으로 한글 생애사 그려 배우 차인표, 황순원신진상 수상, 황순원양평문인상은 시인 강정례 수상
황순원문학상 제공
제14회 황순원문학상 작가상에 훈민정음 해례본의 추적과 보존을 그린 장편소설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의 소설가 주수자가 선정됐다. 황순원기념사업회는 주수자 작가의 작품이 "문학의 본질과 민족 언어의 정체성을 치열하게 되묻는 서사"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는 실존 국문학자 김태준이 해례본의 실체를 쫓는 여정을 바탕으로 '글자'와 '말'의 역사, 문자에 담긴 민족성과 보편성을 다층적으로 구성했다. 이중 나선구조로 얽힌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넘나들며 한글의 창제부터 수난, 보존에 이르기까지 생생한 언어의 생애사를 문학적으로 펼쳐냈다. 주수자 작가는 수상소감에서 "마치 황순원 선생님께서 손수 문학상을 선물로 주신 것 같다"며 "황순원 선생님의 이름을 가까이 지니게 되어 더할 나위 없이 영광"이라고 밝혔다.
주수자 작가는 서울대 미술대학을 졸업한 뒤 프랑스·스위스·미국 등지에서 생활하다 2001년 국내에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버펄로 폭설》, 시집 《나비의 등에 업혀》를 비롯해 희곡 《빗소리 몽환도》, 《복제인간 1001》 등을 연극 무대에 올렸으며, 《빗소리 몽환도》는 영국과 몽골에서 번역 출간되기도 했다.
황순원신진상은 소설 《인어사냥》으로 독창적인 상상력을 선보인 차인표 작가가 수상해 주목받았다. 배우이자 스토리텔러로 활동해온 차인표는 "황순원문학상 신진상은 앞으로도 계속 소설을 써도 좋다는 조용한 허락처럼 다가왔다"며 "더 겸손히, 진심을 담아 쓸 수 있는 작가가 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황순원양평문인상에서는 시인 강정례가 시집 《우리 집엔 귀신이 산다》로 대상을 수상했고, 노순희 시인과 김은희 수필가는 꾸준한 지역 문학 활동과 집필 성과를 인정받아 우수상을 받았다. 황순원문학상은 《소나기》의 작가 황순원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양평군, 경희대학교, 중앙일보가 공동 주최하고 황순원기념사업회가 주관한다. 올해 시상식은 9월 12일 오후 4시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에서 개최된다.
장세환
언론출판독서TV
관련 기사


금성출판사 60주년 특별전 ‘기록하는 사람들’ 개막
